Singleton Pattern
디자인 패턴이란?
디자인 패턴이란?
- 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공학의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공통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자주 쓰이는 설계 방법을 정리한 패턴이다.
- 디자인 패턴을 참고하여 개발하면 효율성과 유지보수성, 운용성이 높아지며, 프로그램 최적화가 된다고 한다.
디자인 패턴을 목적과 범위로 나눌수 있다
구분 | 유형 | 설명 |
---|---|---|
생성 | 객체 인스턴스 생성에 관여, 클래스 정의와 객체 생성 방식을 구조화, 캡슐화를 수행 | |
목적 | 구조 | 더 큰 구조 형성 목적으로 클래스나 객체의 조합을 다루는 패턴 |
행위 | 클래스나 객체들이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역할 분담을 다루는 패턴 | |
범위 | 클래스 | 클래스간 관련성(상속), 컴파일 시 정적으로 결정 |
객체 | 객체 간 관련성을 다루는 패턴, 런타임 시 동적으로 결정 |
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패턴
데이터베이스 연결 모듈에서 많이 쓰이는 패턴이다.
싱글톤 패턴이란?
전역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객체를 하나만 생성하도록 하며, 생성된 객체를 어디에 서든지 참조 할 수있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public class SingletonService(){
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Service instance = new SingletonService();
public static SingletonService getInstance(){
return instance;
}
private SingletonService(){
}
public void logic(){
//로직
}
}
// 다른 클래스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
... = new SingletonService() // 생성자가 private이기에 막을 수 있다.
}
위의 코드처럼 client가 요청할 때마다 객체를 생성하는것이 아닌, 이미 만들어진 객체를 공유해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.
다만 수많은 문제점들이 있다.
장점과 단점
장점
- 객체보장
- 객체공유
단점
- 기본 셋팅 코드가 많이 들어간다. (1번부터 15번 라인까지)
- DIP, OCP 위반한다. *의존 관계상 클라이언트가 구현 클래스를 의존함
- 단위 테스트를 하기 어렵다. 각각의 테스트마다 독립적인 인스턴스를 만들기 어려움
- 내부 속성을 변경하거나 초기화 하기 어렵다
아니 그럼 왜 이렇게 문제가 많은데 왜 쓰는거지? -> 의존성 주입 (feat. 싱글톤 컨테이너!!)


결론
싱글톤 패턴은 안티패턴이라는 말이 있듯이 단독으로 사용되면 OOP설계를 위반하기 쉽다.
하지만 위에서 소개한 내용대로 스프링 컨테이너의 도움을 받으면 싱글톤 패턴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.
*스프링 빈은 컨테이너의 도움을 받아 싱글톤 스콥으로 관리되고 있는걸 확인 할 수 있다.
참고자료
- 인프런 김영한 스프링 기본 강의